Ⅰ. 서 론
대표적인 듀얼 홉(dual hop) 중계 시스템으로 증 폭 후 전달 중계 시스템과 디코딩(decoding) 후 전 달 중계 시스템이 있다. 증폭 후 전달 중계 시스템 에서는 중계 노드(node)가 소스(source) 노드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단순히 증폭하여 목적지 노드로 전 송한다. 반면에, 디코딩 후 전달 중계 시스템에서는 중계 노드가 소스 노드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디코 딩한 후 그 신호를 다시 인코딩(encoding)하여 목적 지 노드로 전송한다. 그러므로, 증폭 후 전달 중계 노드는 디코딩 후 전달 중계 노드보다 낮은 복잡성 을 요구한다. 그러나, 증폭 후 전달 중계 시스템은 잡음을 증폭하여 전달하기 때문에, 디코딩 후 전달 중계 시스템보다 성능이 저조하다[1].
듀얼 홉 중계 네트워크에서 중계 노드 선택 기법 은 다수의 중계 노드들 중 가장 좋은 종단간 링크 (link) 품질을 제공하는 하나의 중계 노드를 선택하 는 기법으로써 최대 다이버시티 이득을 제공한다 [2]. 듀얼 홉 증폭 후 전달 중계 시스템과 듀얼 홉 디코딩 후 전달 중계 시스템에서 중계 노드 선택 기법에 대한 아웃티지(outage) 성능이 [3]에서 연구 되었다. [2, 3]에서는 첫 번째 홉(hop)과 두 번째 홉 에 대한 채널 정보를 모두 안다고 가정하여 가장 좋은 중계 노드를 선택한다. 반면에, [4]에서는 첫 번째 홉에 대한 채널 정보만을 안다고 가정하여 중 계 노드를 선택하며, 이를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 법(partial relay selection)이라 한다.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은 중계 노드 선택시 부분적인 채널 정보 만을 요구하기 때문에, 채널 피드백(feedback)을 위 한 주파수 및 전력 자원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 서,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을 이용하여 지능형 교통 시스템 지원을 위한 차량간 무선 통신 네트워 크 및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절약의 효과를 얻 을 수 있다.
[5]에서는, 각 홉에 대한 채널들이 균일 분포를 갖는 나까가미 페이딩(Nakagami) 채널이라고 가정 하여 증폭 후 전달 중계 시스템과 디코딩 후 전달 중계 시스템에서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에 대한 아웃티지 확률을 분석하였다. [6]에서는 각 홉에 대 한 채널들이 균일 분포를 갖는 레일레이(Rayleigh) 페이딩 채널을 가정하여 증폭 후 전달 중계 시스템 과 디코딩 후 전달 중계 시스템에서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에 대한 비트 오차율을 분석하였다. 그러나, 다수 중계 노드를 이용하는 실제적인 중계 시스템에서의 노드간 페이딩 채널의 분포는 균일하 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7, 8]에서는 비균일 분 포를 갖는 페이딩 채널을 가정하여 증폭 후 전달 시스템에서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에 대한 아웃 티지 확률과 에르고드(ergodic) 용량을 각각 분석하 였다.
이용 가능한 채널 정보가 첫 번째 홉으로 국한된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 여 [9]에서 효율적인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을 제안하였다. 효율적인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에 서는 종단간 링크 품질과 두 홉 중 평균 채널 전력 이 작은 홉에 대한 링크 품질과의 상관 계수가 다 른 홉에 대한 링크 품질과의 상관 계수 보다 큼을 이용하여 각각의 중계 노드에 대한 종단간 링크에 서 첫 번째 홉과 두 번째 홉 중 평균 채널 전력이 작은 홉에 대한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중계 노드를 선택한다. [9]에서는 비균일 분포를 갖는 레일레이 페이딩 채널을 가정하여 증폭 후 전달 중계 시스템 에서 효율적인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에 대한 아웃티지 확률을 분석하였다.
디코딩 후 전달 중계 시스템에서 종단간 링크 품 질은 두 홉 중 작은 채널 전력에 지배적이다[10]. 그 리고, 이것은 종단간 링크 품질과 두 홉 중 평균 채 널 전력이 작은 홉에 대한 링크 품질과의 상관 계수 가 다른 홉에 대한 링크 품질과의 상관 계수 보다 큼 을 의미한다. 따라서, 디코딩 후 전달 중계 시스템에 서 효율적인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은 증폭 후 전 달 중계 시스템에서와 동일하게 적용된다.
비균일 분포를 갖는 페이딩 채널을 가정하여 듀 얼 홉 증폭 후 전달 중계 시스템에서 부분 중계 노 드 선택 기법에 대한 성능 분석은 활발히 수행되어 왔지만, 비균일 분포를 갖는 페이딩 채널에서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을 이용하는 듀얼 홉 디코딩 후 전달 중계 시스템에 대한 성능 연구는 매우 미 비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듀얼 홉 디코딩 후 전달 중계 시스템에서 기존의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4] 및 효율적인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9] 에 대한 아웃티지 확률을 비균일 분포를 갖는 레일 레이 페이딩 채널 하에서 분석한다. 또한, 수치적 결과를 통해 디코딩 후 전달 중계 시스템에서 기존 의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과 효율적인 부분 중 계 노드 선택 기법의 아웃티지 성능을 비교한다.
Ⅱ. 시스템 모델
본 논문에서는 <그림 1>과 같이 하나의 소스 노 드, K 개의 중계 노드들, 하나의 목적지 노드로 구 성된 중계 시스템을 고려한다. 여기서, K 개의 중계 노드들 중 선택된 오직 하나의 중계 노드만 소스 노드의 신호를 목적지 노드로 전송한다. 각 중계 노 드는 반이중 모드로 동작하며, 디코딩 후 전달 중계 방식을 이용한다. 디코딩 후 전달 중계 방식에서, 중계 노드는 첫 번째 시간 슬롯(slot)동안 소스 노드 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신호의 디코딩이 성공한 경우에만 그 디코딩된 신호를 다시 인코딩 하여 두 번째 시간 슬롯동안 목적지노드로 전달한 다[11]. 중계 시스템에서 모든 노드들은 하나의 송 수신 안테나를 가지며, 소스 노드와 목적지 노드와 의 직접 링크는 고려하지 않는다.
소스 노드(S )와 k번째 중계 노드(Rk)간의 복소채 널 계수는 hSk이고, k번째 중계 노드(Rk)와 목적지 노드(D)간의 복소채널 계수는 hkD이다. 본 논문에 서, 모든 채널들은 플랫(flat) 레일레이 페이딩 채널 이며, 그 채널들은 독립적이고 비균일적인 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채널 전력인 와 는 독립적인 지수 분포를 따르는 확률 변수들 이다. 여기서, |hSk|2와 의 평균을 각각 βSk와 βkD 라 하자. βSk와 βkD 는 k번째 중계 노드를 이용 하는 종단간 링크(즉, 소스 노드, k번째 중계 노드, 목적지 노드를 잇는 링크)에서 각각 첫 번째 홉(즉, 소스 노드와 k번째 중계 노드와의 링크)과 두 번째 홉(즉, k번째 중계 노드와 목적지 노드와의 링크)의 평균 채널 전력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 모든 송신 노드들의 송신 전력은 P 로 동일하고, 모든 수신 노 드들의 잡음 전력은 σ2으로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그러므로, 평균 송신 신호 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인 ρ는 ρ = P/σ2으로 표현된다. GSk와 GkD 를 첫 번째 홉과 두 번째 홉에 대한 각각의 수신 SNR이라고 정의하고, 와 으로 표현한다.
기존의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4]에서는 K개 의 중계 노드들에 대한 첫 번째 홉의 수신 SNR들 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이 가장 큰 수신 SNR을 제 공하는 하나의 중계 노드를 선택한다.
반면에, 효율적인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9]에서 는 각각의 종단간 링크에 대하여 두 홉 중 작은 평 균 채널 전력을 갖는 홉의 수신 SNR을 모으고, 그 수신 SNR들 중 가장 큰 수신 SNR을 제공하는 하 나의 중계 노드를 다음과 같이 선택한다.
여기서,
Ⅲ. 아웃티지 확률 분석
본 논문에서는 종단간 수신 SNR을 γδ라고 정의 하고, 아웃티지 확률을 [3]으로 표현 되는 용량값이 데이터율의 목표치 보다 작을 확률 로 정의한다. 여기서, 이다. 따라서, 기 존의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과 효율적인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에 대한 각각의 아웃티지 확률 을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R 은 데이터율의 목표치를 의미한다. 수식 표현의 편의를 위하여, 이라고 정의하자. 본 논문에서는 디코딩 후 전달 중계 방식에서 중계 노드가 수신한 신호의 SNR(즉, 첫 번째 홉의 수신 SNR)이 z 보다 클 경우에 그 중계 노드에서 수신 신호의 디코딩이 성공했다고 한다[11]. 그리고, 그 경우에만 중계 노드는 수신신호를 다시 인코딩하여 목적지 노드로 전송한다. 즉, 디코딩을 실패할 경우 에 중계 노드는 아무런 전송을 하지 않는다. 그러므 로, 식(1)과 식(2)를 식(4)에 적용하여, 디코딩 후 전 달 중계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에 대한 아웃티지 확률을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첫 번째 확률 부분은 k번째 중계 노드가 선 택되었을 때 수신신호의 디코딩이 성공한 경우를 의미하고, 두 번째 확률 부분은 k번째 중계 노드가 선택되었을 때 수신신호의 디코딩이 실패한 경우를 의미한다. 그리고, 식(5)에서 모든 k에 대하여 Wk를 GSk으로 대체하면, 기존의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 법에 대한 아웃티지 확률의 표현식을 얻을 수 있다.
증폭 후 전달 중계 시스템의 경우, 중계 노드는 소스 노드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증폭 후 목적지 노 드로 전송한다. 따라서, 종단간 수신 SNR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1].
식(6)을 식(4)에 대입하여, 증폭 후 전달 중계 시스 템에서 효율적인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에 대한 아웃티지 확률을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9].
식(5)와 식(7)의 비교로부터, 본 논문에서 유도하는 디코딩 후 전달 중계 시스템에 대한 아웃티지 확률 이 증폭 후 전달 중계 시스템에 대한 아웃티지 확 률과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부터, 식(5)를 이용하여 디코딩 후 전달 중계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에 대한 아웃티지 확률을 유도한다. 레일레이 페이딩 채널에 대하여, GSk와 GkD 의 확률 밀도 함수는 각 각 다음과 같다.
Wk의 평균을 ρλk라 하자. 여기서, 효율적인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에 대하여, βSk < βkD 일 때 λk = βSk이고, βSk > βkD 일 때 λk = βkD이다. 반면 에, 기존의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에 대하여, 항 상 이다.
일 때, 식(8)과 식(9)을 이용하여 식(5) 의 첫 번째 확률 부분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이고, Li 는 집 합 Mk의 부분 집합이고, 은 집합 Li의 크기이다.
일 때, 식(8)과 식(9)을 이용하여 식(5) 의 두 번째 확률 부분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Wk = GkD 일 때, 식(8)과 식(9)을 이용하여 식(5) 의 첫 번째 확률 부분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Wk = GkD 일 때, 식(8)과 식(9)을 이용하여 식(5) 의 두 번째 확률 부분을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끝으로, 각 경우(즉, Wk = GSk 혹은 Wk = GkD )에 따라 식(10)과 식(11) 혹은 식(12)과 식(13)을 식(5) 에 대입하여 효율적인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에 대한 정확한 아웃티지 확률을 얻는다. 기존의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에 대한 정확한 아웃티지 확률 은 식(10)과 식(11)를 식(5)에 대입하여 얻는다.
Ⅳ. 수치적 결과
수치적 결과를 얻기 위해 <표 1>과 같이 네 가지 시뮬레이션 경우들을 고려한다. Case 1과 Case 2는 두 개의 중계 노드(즉, K = 2)를 가정하고, Case 3과 Case 4는 네 개의 중계 노드(즉, K = 4)를 가정한다.
Case 1과 Case 2에서, 첫 번째 중계 노드는 목적지 노드 보다 소스 노드에 더 근접해 있고, 두 번째 중 계 노드는 소스 노드 보다 목적지 노드에 더 근접해 있음을 가정하여 평균 채널 전력값을 설정하였다. Case 1에 대한 첫 번째 홉과 두 번째 홉의 평균 채널 전력 비(즉, )는 3 dB이고, Case 2 에 대한 첫 번째 홉과 두 번째 홉의 평균 채널 전력 비는 10 dB이다. Case 3과 Case 4에서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중계 노드들은 목적지 노드 보다 소스 노드 에 더 근접해 있고, 세 번째와 네 번째 중계 노드들 은 소스 노드 보다 목적지 노드에 더 근접해 있음을 가정하여 평균 채널 전력값을 설정하였다. Case 1과 Case 2에서 처럼, Case 3에 대한 첫 번째 홉과 두 번 째 홉의 평균 채널 전력 비(즉, )는 3 dB이고, Case 4에 대한 첫 번째 홉과 두 번째 홉의 평균 채널 전력 비는 10 dB이다.
<그림 2~5>는 Case1~Case4에 대한 효율적인 부 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과 기존의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의 아웃티지 확률을 각각 보여준다. 그림 에서 “Best relay selection”의 시뮬레이션 결과는 첫 번째 홉과 두 번째 홉에 대한 채널 정보를 모두 알 고 있다고 가정하여 다음과 같이 중계 노드를 선택 하여 얻어진다.
여기서,
<그림 2~5>에서는 3절에서 유도한 아웃티지 확률 식들로부터 얻은 수치적 결과(dashed lines)와 시뮬레이션 결과(□,○)가 완벽하게 일치함을 보여 준다. 또한, 효율적인 중계 노드 선택 기법이 기존 의 중계 노드 선택 기법 보다 좋은 아웃티지 성능 을 제공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효율적인 중계 노드 선택 기법에 대한 성능 개선 정도는 첫 번째 홉과 두 번째 홉의 평균 채널 전력 비가 클수록 증 가하고, 데이터율의 목표치(R )의 영향을 받지 않는 다. 여기서, 만약에 모든 중계 노드들이 목적지 노 드에 근접해 있다고(즉, βSk < βkD ) 가정하면, 효율 적인 중계 노드 선택 기법은 기존의 중계 노드 선 택 기법과 동일하게 동작한다.
효율적인 중계 노드 선택 기법과 best relay selection 기법의 결과를 비교해 보면, 중계 노드 수 가 작고 첫 번째 홉과 두 번째 홉의 평균 채널 전력 비가 클 때 두 중계 노드 선택 기법들의 아웃티지 성능이 낮은 SNR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중간의 SNR 영역에서도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부분적인 채널 정보를 이용하는 효율적인 중계 노 드 선택 기법이 전체 채널 정보를 이용하는 best relay selection 기법과 유사한 성능을 제공한다는 점 이 주목할 만하다.
Ⅴ.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듀얼 홉 디코딩 후 전달 중계 시 스템에서 기존의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과 효율 적인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에 대한 각각의 아 웃티지 확률을 비균일 분포를 갖는 레일레이 페이 딩 채널 하에서 분석하였다. 수치적 결과를 통해, 효율적인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이 기존의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 보다 우수한 성능을 제공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중계 노드들이 소스 노드에 근접 해 있고 첫 번째 홉과 두 번째 홉의 평균 채널 전력 비가 클 때, 효율적인 부분 중계 노드 선택 기법의 성능 개선이 매우 크다. 또한, 중계 노드 수가 작고 평균 채널 전력 비가 클 때, 효율적인 중계 노드 선 택 기법은 모든 채널 정보를 이용하는 중계 노드 선택 기법과 유사한 아웃티지 성능을 중간 SNR 영 역에서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