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View PDF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11 No.6 pp.133-144
DOI : https://doi.org/10.12815/kits.2012.11.6.133

Comparative Analysis of Elderly’s and Non-elderly’s Human Traffic Accident Severity

Sang Hyuk Lee*, Woo Dong Jeung**, Yong Han Woo***
*Lead author: Hanbat University UCRC researcher
**Co-author: Department of Security, Daegu Regional Police Agency
***Co-author and 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Schoo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Kyungil University
20120914 │ 20121108 │ 20121114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estimating influential factors of traffic accidents and analyzing traffic accident severity of elderly and non elderly using traffic accident data. In order to reclassify elderly and non elderly traffic accident by a statistical method from entire traffic accident data, multiple discriminant analysis was applied. Also ordered logit model was applied for analyzing traffic accident severities using traffic accident severities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road conditions and human characteristics as dependent variables.



As results of the comparison between elderly and non elderly traffic accident, the traffic accident severity was affected by the age, types of traffic accidents, human characteristics and road conditions as well. Also, transportation facilities and road conditions affected to more elderly traffic accident than non elderly. Therefore, traffic accident severity would be decreased with the improvement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and road conditions for the elderly.



고령운전자와 비고령운전자의 인적교통사고 심각도 비교분석

이 상 혁*, 정 우 동**, 우 용 한***
*주저자 : 한밭대학교 UCRC 연구원
**공저자 : 대구지방경찰청 보안과장
***공저자 및 교신저자 : 경일대학교 건설공학부 교수

초록


본 연구는 교통사고자료를 이용하여 고령자 집단과 비고령자 집단 간의 교통사고요인을 파악하여 각 요인들이 교통 사고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를 분석하였다. 나이에 의해 구분된 고령자와 비고령자 집단을 교통사고자료를 이용 한 통계학적 방법에 의해 재분류하였으며, 교통사고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심각도를 종속변수로 두고, 교통시설, 도로환경, 개인별특성에서 17개 독립변수로 정하여 순서형 로짓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고령자 집단과 비고령자 집단의 교통사고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비교한 결과, 사고 당사자의 연령뿐만 아니라, 사고유 형이나 운전자 개인의 특성, 도로환경도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고령자 집단과 비고령자 집단 은 교통사고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변수의 종류와 크기가 각각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집단의 개인적 특성에 적 합한 교통시설이 개선된다면 교통사고의 심각도를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Ⅰ.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현재 급격히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 고 있으며, 이미 그 수준이 세계적이라 할 수 있 다.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고령자들의 사회 재 진출 기회도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해마다 교통사 고도 비례하여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고령자의 교통사고 유발위험은 비고령자에 비해 훨씬 더 높을 것으로 판단되며, 사고 시 운전자들이 당하는 피해의 크기 또한 더 심각하다는 것이 일반 적이다. 그러므로 사회적 약자인 고령자들의 교통 사고는 우리가 심각하게 고민해야 될 사회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고령자고 용촉진법 제2조 제1항, 동법 시행령 제2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해 고령자는 55세 이상인자로 한다.라고 되어 있다. 하지만 의학기술의 발달로 평균수명과 경제활동의 정년이 점차 연장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종전까지 일반적으로 통용 되는 인구주택 총 조사보고서에서 60세 이상을 고 령자로 규정하였고, 또한 교통사고분석에서 각 사 고의 가해자나 피해자 중 한명이라도 이에 해당되 면 고령자관련 교통사고로 분류하였다. 이렇게 획 일적으로 나이기준에 따라 고령자와 비고령자를 분 류하였을 뿐만 아니라, 교통안전시설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이마저도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황이었다.

    당초 본 연구의 착안점은 고령자와 비고령자 집단 별 교통사고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하는 생각에서 였다. 이를 위해 실제 현장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를 기준으로 사고발생 요인들의 형태에 따른 고령자와 비고령자 집단을 분류하였고, 각 집단별로 교통사고 영향변수에 따른 교통사고 심각도의 크기를 분석하 고 비교하였으며, 최종적으로 통계적 검증을 실시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또한 부수적인 목적 으로는 교통사고 저감을 위한 안전시설의 설치나 정책을 수행함에 있어서 두 집단별로 적정한 대책 을 마련할 수 있는 준거를 제공함이라 할 수 있다.

    2. 연구내용 및 방법

    교통사고가 발생하면 매 건마다 경찰관에 의한 ‘교통사고조사보고서 실황조사서’를 작성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 자료를 이용하였다. 사고차량 운전 자의 연령을 기준으로 60세 이상(고령자)과 이하(비 고령자)에 대해 각각 400건의 표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판별분석의 판별점수를 이 용하여 각각의 그룹에 속할 확률을 산정하였고, 이 에 따라 고령자 집단과 비고령자 집단의 구분을 연 령이 아닌 사고가 발생했을 때의 유형특성, 개인특 성, 교통시설특성 등을 기반으로 재분류하였다. 재 분류된 집단별로 순서형 로짓모형을 이용하여 사고 영향변수에 따른 심각도의 크기를 분석하였다. 연 구의 수행과정은 아래와 같다.

    Ⅱ. 선행연구 고찰과 이론적 배경

    1. 선행연구의 고찰

    교통사고 심각도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고찰 한 결과,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대부분의 연구 가 교통의 기술적인 부분이나, 어떤 고정된 대상들 에 한해 이루어진 것이었음을 알았고 구체적인 내 용은 다음과 같다.

    강경우 외 (2007)박병호 외(2009)는 고령운전 자가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과 고령운전자 관련 교통사고의 특성을 모형화하여 분석하였으며[1, 2], 박현천 외(2011), 이성기 외(2008)Zajac et. al(2003) 는 음주교통사고와 안개지역의 교통사고를 심각도 에 따라 모형화하여 분석하였다. [3, 4, 5]

    최재성 외(2009)은 경찰청에서 제공한 보행자 사 고 자료를 가지고 보행자 사고 심각도를 분석하였 다. 보행자 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되는 주요 요인을 미리 선정하여, 그 영향을 순서형 로짓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적요인에서는 성별, 나이가 기타요인에서는 차량, 도로구조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6]

    한수산 외(2011)은 청주시 주간선도로 13개 구간 의 교통사고 자료를 바탕으로 사고특성을 분석하 고, 순서형 로짓모형을 이용하여 사고요인을 분석 하였다. 그 결과 교통사고의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 의 크기가 큰 변수들은 도로환경요인에서는 여름날 야간시간대의 비가 오는 날인 것으로 분석하였고, 인적요인에서는 젊은 남자들로 나타났고, 사고유형 요인에서는 직진 또는 진로변경중인 승용차의 사고 심각도가 높은 것으로 제시하였다.[7]

    Zhang et. al. (2000)은 Multivariate Un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기법을 이용하여 고령자관련 교통사 고의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나이, 성별, 교통법규준수여부, 안전벨트착용여부, 신호교차 로유무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8]

    Garber et. al. (1991)는 고령운전자 관련 교통사고 중 교차로에서의 사고가 증가하는 것을 파악하고 이에 관련된 교통량, 교차로지형 특성 등을 파악하 여 분석한 결과 도시외곽에서 고령운전자 관련 교 통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긴 황색신호와 좌회전전용 신호 등이 고령운전자 관련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 다고 분석하였다.[9]

    2.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본 연구와 기존 연구들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첫 째, 기존 연구들은 통계자료와 현장 조사자료를 통 해 교통사고 심각도의 영향요인을 전체 집단에 대 해 분석한 것이었지만, 본 연구는 고령자와 비고령 자 집단별로 교통사고유형이나 개인적 특성, 도로 시설환경이 교통사고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였고, 두 집단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 도 비교하였다.

    둘째, 분석에서 사용한 독립변수는 교통사고 현 장에서 경찰관이 직접 조사한 자료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구체적인 현장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장점 이 있다. 사고유형, 운전자 개인특성, 기상특성, 도 로시설특성의 17개 독립변수를 이용함으로서 교통 사고의 여러 가지 상황을 연구에 반영할 수 있었다

    3. 이론적 고찰

    1) 판별분석이론

    판별분석은 하나의 종속적 범주변수를 다수의 계량적 독립변수들의 선형결합으로 나타내기 위한 통계적 기법으로서, 판별분석을 통해 도출하려는 독립변수들의 선형결합(판별함수)을 일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이 형태는 독립변수의 수와는 관계 없다. 단지 집단의 수가 두개이면 두집단판별분석, 셋 이상이면 다중판별분석이라고 한다. 집단의 수 가 두개이고 독립변수가 두개라면 수작업으로 절편 과 가중치들을 계산할 수도 있지만, 집단의 수가 셋 이상이거나 독립변수의 수가 증가한다면 통계적 분 석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고는 거의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선형결합에 대해 절편과 각 독립변수의 가중치가 결정된다면, 자료의 판별점수를 계산할 수 있다. 판별분석은 결국 이러한 절편과 독립변수 들을 구하기 위한 통계적인 절차인데, 집단 사이에 서 판별점수의 변이가 최대가 되고 집단 내부에서 판별점수의 변이가 최소가 되도록 이들을 결정하는 것이다. 변수들의 절편값을 구한 후 산정할 수 있는 판별점수의 식은 아래와 같다.

    Z = W 1 X 1 + W 2 X 2 + + W n X n
    (1)

    • Z=판별점수

    • W i =변수 i에 대한 판별계수

    • X i =독립변수 i

    2) 순서형 로짓모형 이론

    종속변수가 2개 이상의 다항으로 나누어져 있고 이들 간에 어떤 순서가 존재하고 있을 때, 이 순서 를 선택할 수 있는데 이때 적합한 방법이 순서형 로짓모형이다. 종속변수가 순서형일 때 일반적인 선형회귀모형은 잘 맞지 않기 때문이다. 선형회귀 모형은 종속변수에 민감하며, 특히 순서형인 경우 회귀모형은 자료내의 관계들을 정확히 찾아내지 못 할 수도 있다.[10]

    순서형 변수에서 중요한 점은 각 범주들 간에 순 서가 있다는 것이다. 만일 이웃하는 범주들을 하나 의 큰 범주로 합하더라도 모형의 변화가 적어야 하 며, 합하기 전의 범주를 사용한 모형과 합해진 범주 를 사용한 모형이 서로 비슷해야 한다. 이러한 제한 때문에 순서형 종속변수를 다룰 때는 범주들 사이 의 균등하지 않는 거리를 설명하기 위해 연속형적 인 점수를 부여하는 것이다. 실제로 오차항의 확률 분포를 정규분포로 가정하여 프로빗 모형을 많이 사용하지만, 이 모형은 파라메타의 산출이 비교적 어렵고, 각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정 도를 분석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변수들 간에 어떤 순서와 유사 한 차이가 존재하므로 순서형 로짓모형을 이용하였 다. 재분류된 고령자집단과 비고령자집단별로 교통 사고 심각도에 미치는 변수들은 어떤 것들이 있고, 영향의 크기는 어느 정도인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로짓모형은 어떤 사건이 일어날 확률과 일어나 지 않을 확률로 나누고, 두 확률간 비율을 구한 후 이를 자연대수로 변환한 통계량이다. 이에 비해 순 서형 로짓모형은 일반회귀식과 동일하게 취급하기 위해 순서화된 종속변수와 독립변수간의 관계를 식 (2)와 같이 가정하고 있다.

    y * = k = 1 k β k χ k + ϶
    (2)

    • 단, ϶는 F(϶) = 0 인 대칭분포임

    여기서 y* 는 관찰 불가능한 응답변수이고, 응답 자가 관찰 가능한 응답(y)을 선택하는 기준을 제공 한다. 즉, 응답자가 선택 가능한 응답( y )이 j개가 존재한다고 하면, 식(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y = 1 if y * μ 1 ( = 0 ) = 2 if μ 1 < y * μ 2 = 3 if μ 2 < y * μ 3 = j if μ j 1 < y *
    (3)

    순서형 로짓모형은 이산한 종속변수를 확률의 개념으로 연속성을 확보하므로, y = j 를 선택할 확 률을 나타내면 식(4)와 같고,

    Pr o b ( y = j ) = Pr o b ( μ j 1 < y * = k = 1 K β k χ k + ε μ j ) = F ( μ j k = 1 K β k χ k ) F ( μ j 1 k = 1 K β k χ k )
    (4)

    이를 순차적으로 나타내어 계산하면 식(5)와 같 이 나타낼 수 있다.

    Pr o b ( y j ) = F ( μ j k = 1 K β k χ k )
    (5)

    여기서 F를 누적 로짓분포함수로 변경한 후 이 항로짓모형을 유도하는 방법을 이용하면 식(6)과 같은 순서형 로짓모형이 된다.

    Pr o b ( y j | χ ) = F ( μ j k = 1 K β k χ k ) = L ( μ j k = 1 K β k χ k ) = e μ j k = 1 K β k χ j 1 + e μ j k = 1 K β k χ j
    (6)

    로짓모형의 특징 중 하나는 설명변수를 로그 오 즈(Log Odds)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이다. 이 값은 다른 독립변수가 고정되었을 때 해당 독립변 수의 사건발생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주로 승산 비(Odd Ratio)를 이용하여 나타내는데, 사건이 발생 할 확률을 P1, 사건이 발생하지 않을 확률을 P0 라 하면 식(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O d d R a t i o R ( 1 P 1 ) P 0 ( 1 P 0 ) = L O G I T P 1 L O G I T P 0 ln ( O d d s R a t i o ) = L O G I T P 1 L O G I T P 0
    (7)

    이를 로짓모형의 일반식으로 표현하면 식(8)과 같다.

    O d d R a t i o = P 1 ( 1 P 0 ) P 0 ( 1 P 1 ) = [ exp ( α + β ) 1 + exp ( α + β ) ] [ 1 exp ( α ) 1 + exp ( α ) ] [ exp ( α ) 1 + exp ( α ) ] [ 1 exp ( α + β ) 1 + exp ( α + β ) ] = exp ( α ) exp ( β ) exp ( α ) = exp ( β )
    (8)

    모형의 검정을 위하여 전반적인 적합도를 평가 할 수 있는 우도비(ρ 2)와 Chi-square( χ2 )를 이용하 였다. 우도비 산정식은 식(9)와 같다.

    ρ 2 = 1 L L ( ) L L ( 0 ) ( 0 ρ 2 1 )
    (9)

    • LL( ) : 로그 우도함수

    • LL(0) : 제약된 로그 우도함수

    χ2 -검정식은 식(10)과 같다.

    χ 2 = ( n i j μ i j ) 2 μ i j
    (10)

    • n ij : 관측값

    • μ ij : 기댓값

    Ⅲ. 교통사고 발생특성

    1. 분석자료의 개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는 사고발생현장에서 경 찰관이 직접 작성한 ‘교통사고조사보고서 실황조사 서’에 근거한 것이다. 이 조사서에는 교통사고에 관 한 모든 정보가 기록된다. 사람과 자동차에 대한 기 본적인 정보 외에 사고유형, 피해상황, 현장상황, 사고당사자들의 행동유형, 사고유발요인 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교통사고에 대한 모든 상황을 면밀히 조사하였기 때문에 분석에 아 주 유용한 자료라 할 수 있다.

    대구광역시의 남구와 북구에서 발생한 총 800건 의 교통사고 자료를 이용하였다. 고령자와 비고령 자집단은 가해자와 피해자 구분 없이 60세 기준으 로 설정하였고, 각 집단에 대해 400건씩 수집하였 다. 분석은 SPSS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적용 한 신뢰수준은 95%( α =0.05)이다.

    2. 교통사고 발생특성

    총 800건의 표본에 대한 교통사고 특성을 분석하 였다. 사고조사의 여러 가지 항목 중 사고유형, 도 로의 제한속도, 중앙분리대 설치유무의 3가지를 선 정하여 제시하였다. 교통사고 피해정도를 ‘별 피해 없음 : 0’, ‘중․경상 : 1’, ‘사망 : 2’로 구분하였을 때 사고발생특성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사고유형에 따른 발생특성

    사고유형에 따른 교통사고 발생특성을 교차분석 한 결과, 차대차 사고에서 ‘별 피해없음’이 76.5%로 가장 높았으며, ‘사망피해’가 1.7%로 나타났다. 반 면, 차대사람 사고에서는 ‘별 피해없음’이 53.7%를 차지하였고, ‘사망피해’에서는 3.7%로 나타났다. 역 시 차량 간 사고보다는 차량과 사람의 사고에서 피 해정도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항목 간 어느 정 도의 독립성을 가지고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통 계적 검정을 실시한 결과 χ2 =29.667, 유의확률 P=0.000으로서 ‘차대차 사고일 때 피해가 더 클 것 이다’라는 귀무가설이 기각되어 차대사람 사고가 더 큰 피해를 가져온다는 사실을 나타내었다. 구체 적인 분석결과는 <표 1>과 같다.

    2) 제한속도에 따른 발생특성

    시속 60km를 기준으로 발생특성을 분석하여 <표 2>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제한속도가 높은 곳에서 는 사고피해도 크게 나타났다. 시속 60km 이하에서 는 전체사고의 76.6%가 ‘별 피해없음’으로 분석되 었고, 60km 이상에서는 66.9%로 낮아졌다. 반면 사 망사고로 이어진 비율은 60km 이하에서는 1.5%이 지만, 60km 이상에서는 2.8%로 2배 가까이 증가하 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3) 중앙분리대 설치유무에 따른 특성

    전체자료에서 중앙분리대가 설치된 지역에서의 사고는 25.8%를 차지하였고, 74.2%는 중앙분리대가 미설치된 지역이었다. 중앙분리대 설치지역에서의 ‘별 피해없음’ 사고는 82.0%이지만, 미설치지역에서 는 69.4%로 감소하였다. 피해가 ‘사망’에 이른 경우 를 살펴보면, 중앙분리대가 설치된 경우는 전체사 고의 1.5%를 차지한 반면, 미설치지역에서는 2.2% 로 나타났다. 중앙분리대를 설치함에 따라 사고피 해는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Ⅳ. 집단분류와 교통사고 심각도 분석

    1. 변수선정

    고령자와 비고령자 집단의 사고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기 위해 사고집단 변수(종속변수) 1개와 사고요인변수(독립변수)는 공 변량을 포함하여 19개를 선정하여 사고유형적 특 성, 개인적 특성, 기상적 특성, 도로시설적 특성의 4 가지로 구분하였다.

    2. 분석집단의 재분류

    당초 연령만으로 고령자와 비고령자집단을 분류 하였지만, 연령이 아닌 주요 변수들의 관계를 이용 하여 두 집단을 재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판별분석 을 실시하였다. 판별분석을 위해 각각의 독립변수 에 대해 내용별로 순차적인 숫자를 기록하였다. 고 령자와 비고령자집단에서 각각의 변수들이 갖는 차 이를 파악하기 위해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분석하였 는데, 결과를 <표 4>에서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 5>와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각 독립변수별 판별계수는 위의 식(1) 에서 제시한 변수 i의 판별계수( W i )라 할 수 있다.

    식(11)을 이용하여 판별점수는 <표 4>와 같이 산 정할 수 있다.

    Z = 0.030 X 1 ( 각사고변수값 ) + 0.24 X 2 +
    (11)

    산정된 판별점수와 집단소속 확률을 기준으로 각 집단의 사고들이 두 집단 중 어느 집단에 속하 는지를 판별한 결과, 원래 고령자 집단이었지만 비 고령자 집단으로 분류된 건수는 43건이었으며, 반 대는 55건으로 나타났다. 이 건수에 포함되는 사고 들은 판별점수와 각 집단에 속할 확률을 가지고 산 정한 결과로서, 당초 속한 집단에서의 확률보다 다 른 집단에 속할 확률이 더 높은 것들이다. 이는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의 교통사고에는 고령자 집단과 비고령자 집단의 연령에 맞는 특성을 포함하고 있 다는 의미인 것이다. <표 5>는 재분류 결과를 정리 한 것이다.

    3. 집단별 자료특성

    1) 재분류된 고령자 집단의 연령구성

    단순히 연령만이 아닌 사고발생특성에 따른 집 단으로 재분류된 결과에서, 고령자 집단 412건 중 가해자와 피해자의 연령별 구성은 <그림 2>와 같 다. 가해자 기준으로는 60대가 38.3%를 차지하고, 70대 이상은 4.4%로서 가장 낮다.

    2) 재분류된 비고령자 집단의 연령구성

    비고령자 집단에서 가해자와 피해자의 연령층은 40대가 27.6%와 22.9%로 가장 높고, 60대 이상에서 낮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4. 사고심각도 분석결과

    고령자 집단과 비고령자 집단의 사고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는 19개의 변수에 대해 공변량으로 선정한 변수는 가해자의 연령과 피해자의 연령인데 이 변수들은 고령자 집단과 비고령자 집단을 분류 하면서 의미가 없어졌기 때문에 심각도 분석에서는 제외하였다. 종속변수와 독립변수들의 변수값 입력 은 <표 6>에서 설정한 것과 같은 내용으로 가중치 를 부여하였다. 순서형 로짓모형을 이용하여 분석 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1) 사고유형적 특성

    사고유형적 특성에 속한 변수들 중 고령자 집단 에서는 사고유형(X1), 물적피해(X2)의 두 변수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고령자집단 사고에서 는 물적피해(X2), 피해차종(X4)의 두 변수만이 유의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떤 기준변수가 한 단위 증가할 때 기타 변수들이 변화하는 값을 나타내는 승산비(Odd Ratio)를 가지고 사고심각도를 비교하였 다. 고령자 집단에서는 차대사람의 사고보다 차대 차 사고위험이 1.60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적피해가 없는 사고가 있는 사고보다 1.504배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고령자 집단에서는 물적피 해가 없는 사고가 있는 사고보다 2.221배 높은 것으 로 나타났으며, 승용차사고보다 다른 차종의 사고 가 1.32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개인적 특성

    개인적 특성에 속한 6개의 변수 중 고령자집단에 서는 가해자음주여부(X11)만 제외하고 모든 변수들 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고령자 집단에서는 가해자와 피해자 음주여부(X11, X12)에 대한 변수 들을 제외한 모든 변수들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 다. 승산비에 따른 사고심각도를 살펴보면 고령자 집단에서는 피해자음주여부(X12)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주사고보다 비음주사 고가 0.460배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고령자 집단 에서는 피해자보호장구 착용여부(X8)가 사고심각도 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호 장구 착용보다 미착용이 2.413배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3) 기상적 특성

    기상적 특성에 속한 기상변수(X13)는 고령자 집 단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오는날 사 고보다 맑은날 사고가 1.15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이는 고령자 집단에서는 맑은 날 주행속도가 높 음으로 인해 사고확률이 높아짐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4) 도로시설적 특성

    도로시설적 특성에 속한 6개의 변수 중 고령자 집단에서는 신호기 설치여부(X15), 차도폭(X16), 중 앙분리대 설치여부(X19)의 3개 변수만이 유의한 것 으로 나타났으며, 비고령자 집단에서는 차도폭 (X16), 중앙분리대 설치여부(X19)의 2개 변수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 집단에서는 신호 기가 설치되지 않은 교차로에서 발생한 사고의 심 각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호기가 설치 되었을 때 보다 미설치되었을 때의 사고가 1.32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고령자 집단에서는 유의 한 변수 중 중앙분리대가 설치된 지점에서 심각한 사고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설치 되었 을 때 보다 설치 때의 사고심각도가 0.88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통계적 검정

    분석결과를 검정하기 위해 전반적인 적합도를 평가할 수 있는 χ2-검정(chi-square)과 우도비( ρ 2 ) 를 이용하였다. <표 8>은 통계분석 결과에서 산정 된 값으로서, 우도비는 0과 1사이의 값을 갖는데 1 에 가까울수록 모델의 적합도가 높다고 평가 되며, 유사논문들의 연구결과들에 따르면 보통 0.2~0.4의 값이면 충분히 높은 적합도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분석결과, 고령자 집단에서 우도비는 0.254로 나 타났고, 비고령자 집단에서는 0.243으로 산정되어 두 모형 모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χ2값은 고령자집단에서 490.39, 비고령자집단에서 377.50로 산정되어 적합한 것임을 알 수 있다.

    Ⅴ.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당초 연령별로 집계된 고령자 집 단과 비고령자 집단의 교통사고를 사고특성에 따라 재분류한 후, 각 집단별 사고심각도를 종속변수로 두고 사고유형적 특성, 운전자 특성, 기상적 특성, 도로시설적 특성의 17개 독립변수를 설정하여 사고 에 대한 발생특성과 순서형 로짓모형을 이용한 사 고심각도의 크기와 영향요인 변수가 무엇인지를 파 악하였다. 분석에 선행하여 각각의 독립변수에 대 해서는 내용에 따라 0~2의 가중치를 부여하였으며 수행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교통사고 발생특성을 사고유형, 제한속도, 중 앙분리대 설치유무의 3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 과, 차대차 사고에서 사망피해가 1.7%였지만, 차대 사람 사고에서는 3.7%로 증가하였다. 통계적 검정 결과 차대차 사고보다는 차대사람 사고가 더 큰 피 해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속도가 높아 질수록, 중앙분리대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일수록 사고 피해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연령기준으로 고령자와 비고령자집단을 분류 하던 것을 교통사고의 요인특성을 반영하여 판별분 석한 결과, 고령자 사고 400건 중 43건이 비고령자 사고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비고령자 사고 400건 중 55건이 고령자 사고유형으로 분류되었다.

    3. 사고유형적 특성에서 사고심각도가 가장 높은 변수는 고령자 집단에서는 차대차 사고(X1)가, 비고 령자 집단에서는 물적피해(X2)에 의한 사고인 것으 로 나타났다. 운전자 특성에서는 고령자나 비고령 자 집단 모두 피해자보호장구(X8)를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한 사고의 심각도가 가장 높은 것으 로 분석되었다. 기상상태(X13)에서는 고령자 집단 에서 맑은 날씨에 발생한 사고의 심각도가 흐린 날 씨보다 더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고, 도로시설적 특 성에서 고령자 집단은 신호등이 설치되지 않은 지 점(X15), 비고령자 집단에서는 차도폭(X16)이 협소 할수록 심각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 은 결과를 두고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고령자 집단 은 대부분 상황이나 시설적인 것에 민감하게 반응 하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비고령자 집단은 시설적 인 것보다는 개인적인 성격이나 습관에 의해 심각 도가 더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분석결과에 대해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는데, 적합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도출된 결과를 응용하여 안전정책 의 시행이나 시설의 보완설치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가해자와 피해자의 보호장구 착 용여부에 대해서는 안전벨트의 단속이 좀 더 강화 되어야 한다고 판단되며, 사고차량 중 피해자의 직 전속도를 보면 20km/h이상의 사고가 많아 교차로 나 횡단보도를 중심으로 단속장비도입의 필요성을 제기 할 수 있다. 또한 신호기를 확대 설치하는 것 도 판단능력이 저하한 고령자를 위해서 필요할 것 이다.

    본 연구는 자료수집의 한계성 때문에 대구광역 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를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도출된 결과가 타 지역에서도 반드시 동일한 결과 를 가져온다는 보장이 없으므로 좀 더 진전된 연구 를 위해 타 지역에서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선행된 몇 개의 연구에서 이용되었던 사고요인변수 중 아주 유용한 변수들은 분석과정에 포함하여 같이 시도해보는 것도 상당히 의미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의 연구과제로 남 겨둔다.

    Figure

    KITS-11-6-133_F1.gif

    Process of the Study

    KITS-11-6-133_F2.gif

    An Age Structure of Elderly Group

    KITS-11-6-133_F3.gif

    An Age Structure of Non Elderly Group

    Table

    Accident Characteristics by Crash Types

    Accident Characteristics by Speed Limits

    Accident Characteristics by Barrier Implementation

    Coefficients of Discriminant Function

    Reclassification Results

    Statistic Comparison of Variables

    Severities by Characteristics of Crash Types

    Statistical Verification of Results

    Reference

    1. 강경우, 권정태, “고령화 사회와 고령자 교통사 고의 재고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7권, 제 1D호, pp.19-26, January 2007.
    2. 박병호, 한상욱, 김경환, “고령운전자 교차로 사 고의 특성 및 모형: 청주시 4지 신호교차로를 중심으로”, 한국도로학회논문집, 제11권, 제4호, pp.33-40, December 2009.
    3. 박현천, “음주교통사고 영향요인과 심각도 분석을 위한 모형설정”,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2011.
    4. 이성기, “안개지역의 교통사고 심각도 모형 개발 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08.
    5. S. Zajac, N. Ivann, “Factors Influencing Injury of Motor Vehicle-Cossing Pedestrian Crashes in Rural Connecticut”,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no. 35, pp.369-379, May 2003.
    6. 최재성, 김상엽, 황경성, 백승엽, “Ordered Logit Model 을 이용한 보행자 사고 심각도 요인분석”, 한국도 로학회지, 제11권 제1호, pp.153-164, March 2009.한수산, 박병호, “순서형 로짓 모형을 이용한 사고 심각도 비교 분석” 대한국토ㆍ도시계획학회지, 제46권 제2호, pp.183-192, April 2011.
    7. 한수산, 박병호, “순서형 로짓 모형을 이용한 사고 심각도 비교 분석” 대한국토ㆍ도시계획학회지, 제46권 제2호, pp.183-192, April 2011.
    8. J. Zhang, J. Lindsay, K. Clarke, G. Robbins, Y. Mao, “Factors Affecting the Severity of Motor Vehicle Traffic Crashes Involving Elderly Drivers in Ontario”,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no. 32, pp.117-125, January 2000.
    9. N. Garber, R. Srinivasan, “Characteristics of Accidents Involving Elderly Drivers at Intersec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no. 1325, pp.8-16, 1991.
    10. 이성우, 민성희, 박지영, 윤성도, “로짓․프라빗 모형 응용”, 박영사, January 2008.

    저자소개

    • 이 상 혁 (Sang Hyuk Lee)
    • 2011년 6월 ~ 현 재 : 한밭대학교 UCRC 연구원
    • 2010년 12월 ~ 2011년 4월 :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Visiting Researcher
    • 2007년 12월 ~ 2010년 12월 :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Research Assistant

    • 정 우 동 (Woo Dong Jeung)
    • 2012년 ~ 현 재 : 경북지방경찰청 정보과장
    • 2012년 : 경일대학교 대학원 건설공학과 졸업(공학박사)
    • 2004년 : 경북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졸업(행정학 석사)
    • 1987년 : 경찰대학 행정학과 졸업

    • 우 용 한 (Yong Han Woo)
    • 2012년 ~ 현 재 : 경일대학교 건설공학부 부교수
    • 2003년 ~ 2006년 : ㈜다운도시교통연구소 대표
    • 1998년 : 영남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졸업(공학박사)
    • 1989년 : 영남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졸업(공학석사)
    • 1987년 : 영남대학교 도시공학과 졸업

    Footno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