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저전력 노드로 구성된 대규모 무선 네트워크에 서는 먼 거리의 노드간 통신을 위해 다중 홉 전송 이 필요하다. 최근 다중 홉 시스템의 단순한 형태인 듀얼 홉(dual-hop) 시스템에서 협력 다이버시티 (diversity)를 얻을 수 있는 기술이 연구되었다[1-6].
[1]에서는 다수 중계 노드를 갖는 듀얼 홉 시스 템에서 가장 좋은 종단간 성능을 제공하는 하나의 중계 노드만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중계 노 드 선택(best relay selection, BRS) 기법을 제안하였 다. 이 BRS 기법은 최대 다이버시티 이득을 제공하 지만, 모든 링크에 대한 채널 정보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2]에서는 듀얼 홉 시스템에서 첫 번째 홉 에 대한 채널 정보만을 이용하여 하나의 중계 노드 를 선택하는 부분 중계 노드 선택(partial relay selection, PRS)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 PRS 기법은 중계 노드 선택시 요구되는 채널 정보를 제한하여 피드백 오버헤드(feedback overhead) 및 복잡도를 낮 춘다. 그러나, 최대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지 못하는 단점 때문에 아웃티지(outage) 성능이 저조하다. [3,4]에서는 디코딩 후 전달 및 증폭 후 전달 기반 의 PRS 기법에 대한 아웃티지 확률을 레일레이 페 이딩(Rayleigh fading) 채널과 나까가미 페이딩 (Nakagami fading) 채널에서 각각 분석하였다.
PRS의 저조한 아웃티지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5]에서는 효율적인 부분 중계 노드 선택(efficient partial relay selection, EPRS) 기법을 제안하였다. EPRS 기법에서는 각각의 종단간 중계 경로에 대해 첫 번째 홉과 두 번째 홉중 평균 채널 전력이 작은 홉에 대한 채널 정보만을 이용하여 하나의 중계 노 드를 선택한다. 이 기법은 종단간 성능이 평균 채널 전력이 작은 홉에 지배적인 사실을 이용한 것이다. [5,6]에서는 증폭 후 전달과 디코딩 후 전달 기반의 EPRS 기법에 대한 아웃티지 확률을 레일레이 페이 딩 채널에서 각각 분석하였다. [5,6]에서의 성능 비 교를 통해, EPRS 기법은 기존의 PRS 기법 보다 다 소 복잡하지만 향상된 아웃티지 성능을 제공하고, EPRS 기법의 성능은 첫 번째 홉과 두 번째 홉의 평 균 채널 전력의 차이가 클 때 BRS 기법의 성능에 근접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EPRS 기법은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를 위한 센서 네트워크 및 차량간 무선 통신에서 무선 자원 절약 및 통신 신뢰도 향상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 다.
지금까지의 EPRS 기법 연구는 다중 홉 시스템의 단순한 형태인 듀얼 홉 시스템에 집중되어 왔다. 따 라서, 세 개 이상의 홉을 갖는 다중 홉 시스템에서 EPRS 기법에 대한 성능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그 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그림 1>과 같이 다수의 홉 과 다수의 중계 경로는 갖는 일반화된 다중 홉 시스템을 고려하여 디코딩 후 전달 중계 기반의 EPRS 기법에 대한 아웃티지 성능을 레일레이 페이 딩 채널에서 분석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일반화 된 다중 홉 시스템에서 EPRS 기법의 실효성을 확 인하기 위하여, 임의의 중계 경로에서 종단간 신호 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와 각 홉의 신호 대 잡음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그리고, 수치적 결과를 통해 EPRS 기법과 BRS 기법의 아웃티지 성 능을 비교한다.
Ⅱ. 시스템 모델
본 논문에서는 <그림 1>과 같이 다수의 중계 경 로를 갖는 다중 홉 시스템을 고려한다. 다중 홉 시 스템에서는 하나의 소스 노드(S)와 하나의 목적지 노드(D)간 통신을 위한 K 개의 가능한 중계 경로가 존재하고, 각 중계 경로는 N - 1개의 중계 노드 (Rk,1, ⋯, Rk,N-1)로 구성된다. 여기서, k는 중계 경로 인덱스를 의미한다. 이 같은 다중 홉 시스템에서 하 나의 중계 경로를 선택하여, 소스 노드의 신호를 목 적지 노드까지 전송한다. 이때, 인접한 노드간 전송 만 가능하며, 각 중계 노드는 반이중 모드로 동작하 여 송수신을 동시에 할 수 없다고 가정한다. 따라 서, 첫 번째 시간 슬롯(slot)에서 소스 노드는 선택 된 중계 경로의 첫 번째 중계 노드로 신호를 전송 하고, 두 번째 시간 슬롯에서 신호를 수신한 첫 번 째 중계 노드가 선택된 중계 경로의 두 번째 중계 노드로 신호를 전달한다. 이로써, 소스 노드의 신호 가 목적지 노드까지 전송되기 위해서 N 개의 시간 슬롯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중계 방식으로 디 코딩 후 전달 중계 방식을 이용한다. 디코딩 후 전 달 중계 방식에서는 각 중계 노드가 수신한 신호를 디코딩한 후 다시 인코딩하여 다음 중계 노드로 전 달한다. 따라서, 수신 신호의 잡음을 제거할 수 있 는 장점이 있다.
은 k번째 중계 경로의 n번째 홉에 대한 복소 채널 계수를 의미한 다. 모든 채널들은 독립적인 레일레이 페이딩 채널 을 가정한다. 그리고, k번째 중계 경로의 n번째 홉 에 대한 채널 전력인 의 평균을 βk,n이라 하 자. 본 논문에서는 모든 송신 노드들의 송신 전력이 P 로 동일하고, 모든 수신 노드들의 잡음 전력이 σ2 으로 동일하다고 가정하여, 평균 송신 SNR인 ρ가 모든 링크에서 ρ = P/σ2으로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k번째 중계 경로의 n번째 홉에 대한 수신 SNR을 γk,n으로 정의하여, 으로 표현 한다.
[5]에서 제안하는 EPRS 기법을 다중 홉 시스템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이 중계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이고, wk,n = ρβk,n이다. 식(1)에서와 같이, EPRS 기 법은 각 중계 경로에서 하나의 홉에 대한 채널 정 보만을 이용하여 중계 경로를 선택한다.
Ⅲ. 상관관계 분석
듀얼 홉 시스템에서 제안된 EPRS 기법의 실효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k번째 중 계 경로에서 종단간 SNR과 각 홉의 SNR의 상관관 계를 분석한다.
k번째 중계 경로에 대한 용량은 k번째 중계 경 로를 구성하는 홉중 가장 작은 용량을 제공하는 홉 에 지배적이다[7]. 따라서, k번째 중계 경로에 대한 용량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여기서, 1/N 은 다중 홉 전송시 소요되는 시간 슬 롯을 반영한 부분이다. 그리고, 식(3)으로부터 k번 째 중계 경로에 대한 용량은 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을 종단간 성능을 대표하는 SNR로 간주할 수 있다.
라 하여, k번째 중계 경로 에서, γk 과 γk,n 에 대한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이 얻어진다.
여기서, E[∙] 와 Var[∙] 은 평균과 분산을 의미한 다. 그리고, γk,n 의 확률 밀도 함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8].
식(5)의 확률 밀도 함수를 이용하여, γk 의 누적 분 포 함수를 다음과 같이 구한다.
식(6)을 미분하여, γk의 확률 밀도 함수를 다음과 같이 구한다.
식(7)을 이용하여, γk의 평균을 다음과 같이 구한 다.
식(5)의 확률 밀도 함수를 이용하여, γk,n 의 평균을 다음과 같이 구한다.
식(7)과 식(5)의 확률 밀도 함수를 이용하여, 과 의 평균을 다음과 같이 구한다.
따라서, 식(8)부터 식(11)까지를 이용하여, γk과 γk,n 의 분산을 다음과 같이 구한다.
끝으로, 식(5)의 확률 밀도 함수를 이용하여, γkγk,n 의 평균을 다음과 같이 유도한다.
여기서, n = j 일때,
그리고, n ≠ j 일때,
따라서, 식(15)와 식(16)을 식(14)에 대입하여, 다음 과 같이 얻어진다.
최종적으로, 식(8), 식(9), 식(12), 식(13), 식(17)을 식 (4)에 대입하여, γk 과 γk,n 에 대한 상관관계는 다음 과 같이 얻어진다.
식(18)로부터, γk 와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γk,n 은 가장 작은 wk,n 을 갖는 γk,n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식(2)에서 보여주는 k번째 중계 경로에서 가장 작은 평균 채널 전력을 제공하는 홉에 대한 SNR이 종단간 SNR을 가장 잘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듀얼 홉 시스템의 EPRS 기법은 일반화된 다중 홉 시스템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Ⅳ. 아웃티지 성능 분석
본 논문에서는 아웃티지 확률을 종단간 용량이 용량의 목표치 보다 작을 확률로 정의한다. 따라서, 식(1)을 이용하여, 다중 홉 시스템에서 디코딩 후 전달 기반 EPRS 기법에 대한 아웃티지 확률을 다 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여기서, R 은 데이터율의 목표치를 의미한다. 그리 고, 수식 표현의 편의를 위해 z = 2NR - 1 이라 하 자.
[5]에서의 아웃티지 확률 분석과 유사하게, 식 (20)을 다음과 같이 유도한다.
여기서,
여기서, Qj = {1, ⋯, k - 1, k + 1, ⋯, K}, Sj 는 Qj 의 모든 가능한 부분집합들을 의미하며, Sj의 원소 개수는 j이다.
최종적으로, 식(22)을 식(21)에 대입하여 아웃티 지 확률을 다음과 같이 얻는다.
Ⅴ. 수치적 결과
아웃티지 성능 검증 및 비교를 위하여 <표 1>과 같이 네가지 시뮬레이션 조건을 고려한다.
Case I, II, IV는 두 개의 중계 경로를 가정하고, Case III은 세 개의 중계 경로를 가정한다. 그리고, Case I, II, III은 세 개의 홉을 가정하고, Case IV는 다섯 개의 홉을 가정한다. 실제 환경에서 평균 채널 전력은 통신 거리에 따른 경로 손실로 고려될 수 있으며[9,10], 따라서 평균 채널 전력과 통신 거리의 반비례 관계를 이용하여 노드간 평균 채널 전력값 으로부터 노드간 상대적인 통신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모든 시뮬레이션 조건에서는 마지 막 홉의 통신 거리가 다른 홉들에 비해 멀다고 할 수 있다. 특히, Case II는 마지막 홉의 통신 거리가 첫 번째 홉과 두 번째 홉의 통신 거리보다 상대적 으로 매우 먼 경우를 나타낸다.
Case I과 III에서 가장 작은 평균 채널 전력을 갖 는 세 번째 홉에 대한 상관관계는 λk,3 =0.71이고, Case II에서 가장 작은 평균 채널 전력을 갖는 세 번째 홉에 대한 상관관계는 λk,3 =0.88이며, Case IV 에서 가장 작은 평균 채널 전력을 갖는 다섯 번째 홉에 대한 상관관계는 λk,5 =0.56이다.
<그림 2>-<그림 4>에서는 네 가지 시뮬레이션 조건들에 대한 EPRS 기법과 BRS 기법의 아웃티지 확률을 보여준다. <그림 2>-<그림 4>로부터, 식(23) 으로부터 얻은 EPRS 기법에 대한 아웃티지 확률이 시뮬레이션 결과와 정확히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 다. 모든 그림에서의 디코딩 후 전달 기반 BRS 기 법에 대한 아웃티지 확률은 다음의 식의 시뮬레이 션을 통해 얻어진다.
식(24)와 같이, BRS 기법은 중계 경로 선택을 위하 여 KN개의 채널 정보를 필요로 한다. 그리고, 이것 은 채널 정보의 피드백 오버헤드의 증가 및 중계 경로 선택 연산의 복잡도의 증가를 의미한다. 반면 에, EPRS 기법은 식(1)과 같이 K개의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중계 경로를 선택한다. 따라서, EPRS 기 법은 BRS 기법보다 1/N배 만큼 적은 채널 정보의 피드백 오버헤드를 요구하며 중계 경로 선택 연산 의 복잡도 또한 작다.
<그림 2>에서, Case I 보다 Case II 일 때 EPRS 기법의 아웃티지 성능은 BRS 기법의 아웃티지 성 능에 더욱 근접한다. 또한, 첫 번째 중계 경로만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한 아웃티지 성능과 비교할 때, Case I 보다 Case II에서 EPRS 기법의 성능 향상이 더욱 두드러진다. 그 이유는 Case I 보다 Case II에 서 가장 작은 평균 채널 전력을 갖는 세 번째 홉에 대한 상관관계가 높기 때문이다. 그 상관관계는 가 장 작은 평균 채널 전력과 그 외의 홉에 대한 평균 채널 전력의 차이가 클수록 증가한다. <그림 3>에 서, Case I 보다 Case III 일 때 BRS 기법의 아웃티 지 성능은 급격히 향상된다. 이는 중계 경로 개수의 증가로 다이버시티 이득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반 면에, EPRS 기법의 아웃티지 성능은 중계 경로 개 수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 <그림 4>에서, Case I 보다 Case IV 일 때 EPRS 기법과 BRS 기법 의 아웃티지 성능 차이가 증가하고, EPRS 기법과 첫 번째 중계 경로만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한 아웃 티지 성능 차이는 감소한다. 그 이유는, 홉 개수의 증가로 Case IV인 경우에 가장 작은 평균 채널 전 력을 갖는 다섯 번째 홉에 대한 상관관계가 감소하 기 때문이다.
<그림 2>-<그림 4>를 통해 식(18)에서 제공하는 가장 작은 평균 채널 전력을 갖는 홉에 대한 상관 관계의 값이 EPRS 기법의 아웃티지 성능 이득과 비례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상관관계는 가장 작은 평균 채널 전력과 그 외의 홉에 대한 평균 채 널 전력의 차이가 클수록 증가하지만, 홉의 개수가 증가하면 그 상관관계는 감소한다. 여기서, 홉간의 평균 채널 전력 차이는 해당 홉들에 대한 통신 거 리의 차이로 해석될 수 있다. 즉, 홉간의 평균 채널 전력 차이가 크다는 것은 해당 홉들에 대한 통신 거리의 차이가 크다고 할 수 있다.
Ⅵ. 결 론
본 논문에서는 다중 홉 시스템에서 디코딩 후 전 달 기반 EPRS 기법에 대한 아웃티지 확률을 레일 레이 페이딩 채널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종단간 SNR과 각 홉의 SNR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EPRS 기법의 실효성을 증명하였다. 수치적 결과를 통해, 가장 작은 평균 채널 전력을 갖는 홉에 대한 상관 관계의 값이 EPRS 기법의 아웃티지 성능 이득과 비례함을 확인하였고, 그 상관관계는 가장 작은 평 균 채널 전력과 그 외의 홉에 대한 평균 채널 전력 의 차이가 크고 홉의 개수가 작을 때 높음을 확인 하였다. 실제 시스템에서 평균 채널 전력을 알고 있 다면, 그 상관관계 값을 구하여 EPRS 기법의 사용 유무를 간단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그 상관관계 값 이 클 경우, EPRS 기법은 복잡한 BRS 기법과 근접 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