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View PDF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15 No.5 pp.12-19
DOI : https://doi.org/10.12815/kits.2016.15.5.012

Analysis of Transit Passenger Movements within Seoul-Gyeonggi-Incheon Area using Transportation Card

Mee Young Lee*, Jong Hyung Kim**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Incheon Development Institute)

† 본 연구는 국토연구원 수시연구과제(국토연 2015-06)로 수행하였습니다.[1]


† 본 논문은 2016년 춘계학술대회에 발표되었던 논문을 수정 · 보완하여 작성하였습니다.

Corresponding author:Mee Young Lee(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mylee@krihs.re.kr
June 3, 2016 │ June 23, 2016 │ September 30, 2016

Abstract

An average of 20 million individual transit unit activities per day on the Seoul-Gyeonggi-Incheon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are provided as transportation card analysis data by the metropolitan district (99.02% by 2014 standard, Humanlive, 2015.4). The metropolitan transportation card data can be employed in a comprehensive analysis of public transportation users’ current transit patterns and by means of this, an effective use plan can be explored. In enhancing the existing information on the bus and rail integrated network of the metropolis with public transportation card data, the constraints in the existing methodology of metropolitan transit analysis, which functions on a zone unit origin and destination basis, can be overcome. Framework for metropolitan public transportation card data based integrated public transportation analysis, which consists of bus and rail integrated transport modes, is constructed, and through this, a single passenger’s transit behavior transit volume can be approximated.

This research proposes that in the use of metropolitan public transportation card data, integrated public transportation usage, as a part of individual passenger spatial movements, can be analyzed. Furthermore, metropolitan public transportation card usage data can provide insights into understanding not only movements of populations taking on transit activities, but also, characteristics of metropolitan local space.


대중교통카드자료를 활용한 수도권 통행인구 이동진단

이 미 영*, 김 종 형**
*주저자 및 교신저자:국토연구원 국토계획 · 지역연구본부 책임연구원
**공저자:인천발전연구원 교통물류연구실 연구위원

초록

수도권은 1일 평균 2천만여건의 통행이 서울-경기-인천의 통합대중교통망에서 이동하는 상황을 개별통행단위의 교통 카드분석자료로 제공되고 있다. 휴먼라이브(2015.4)는 2014년 현재 교통카드 이용률이 99.02%로 발표했는데, 이는 수도권 대중교통카드자료를 이용하여 서울-경기-인천지역의 대중교통통행인구의 이동현황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과 이를 통한 효과적 활용방안의 모색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교통카드자료를 이용하여 우선 수도권의 버스와 철도로 구성된 통합교통 망에 대중교통카드 정보를 반영하여 기존 존단위 기종점 기반의 수도권 통행분석체계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버 스와 철도로 구축된 통합교통수단으로 수도권 대중교통카드자료기반 통합대중교통분석틀을 구축하여 1인 승객의 역간 통행행태별 기종점 통행량의 추정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수도권에서 제공하는 대중교통카드자료를 활용하는 경우 개별통행자의 공간이동에 대한 버스와 함께 철도 로 구성된 통합대중교통에 대한 이용분석이 가능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수도권 대중교통카드 이용자료는 수도권 통행인구의 이동현황 파악뿐만 아니라 수도권 지역공간의 특성에 대한 시사점을 통한 지역의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국토연 2015-06

    I.서 론

    수도권은 1일 평균 2천만여건의 통행이 서울-경 기-인천의 통합대중교통망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은 개별통행단위로 생성되고 있는 교통카드 이 용 분석자료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하다. 2014년 기 준 서울시의 교통카드 이용률은 99.02%이며, 지하 철은 100%, 시내버스 · 마을버스는 98.15%에 이르고 있다(휴먼라이브, 2015. 4). 이러한 전수화가 가능한 교통카드자료는 서울-경기-인천이라는 지역공간의 경제적 흐름, 통근권 및 생활권 등에서 움직이고 있 는 수도권 대중교통 통행인구의 개별이동현황을 파 악할 수 있다[2].

    지금까지 수도권 전체의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통행인구 이동진단은 센서스 조사를 기반으로 한 존 단위 집계자료에 한정하여 분석되어왔다. 존 단 위 집계자료로 가공됨에 따라 대중교통 기종점통행 으로 인한 개별통행분석의 누락가능성이 있으며, 버스와 철도가 분리된 개별교통수단에 대한 통행수 요만을 도출하여 연계교통수단을 이용하는 분석개 념이 미흡하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보완할 수 있 는 수도권 대중교통카드자료를 이용하여 서울-경기 -인천지역의 대중교통 통행인구의 이동현황에 대한 종합분석과 이를 통한 효과적 활용방안의 모색이 가능하다[3, 4].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대중교통카드자료를 분석 하여 수도권 개별통행자의 공간이동에 대한 통합대 중교통 이용현황 파악이 가능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수도권 대중교통카드자료를 활용하 여 수도권 통행인구의 출발지-경유지-도착지 이동현 황을 파악하고 수도권 지역 공간상의 이동특성에 대한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II.수도권 대중교통 이동 분석방안

    기존에는 단일수단기반의 표본자료 분석체계를 활용하였으나 2004년 이후 대중교통카드 도입에 따 라 수도권 대중교통이용자의 전수화가 가능한 자료 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어 수도권 교통카드이용 자 이동현황 파악이 가능해졌다. 이는 수도권 버스 +철도 통합대중교통망에 대중교통카드 이용정보를 반영하여 기존의 존단위 기종점 기반의 수도권 통 행분석체계의 한계에 대한 보완이 가능하다. 버스 와 철도의 통합교통수단으로 구성된 수도권 대중교 통카드자료 기반 통합대중교통분석틀을 구축하여 1 인 승객의 역간 개별통행 행태별 기종점 통행량을 추정할 수 있다.

    대중교통카드는 거리비례제 기반 수도권 통합요 금과 환승할인 제도를 지원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특히 개별승객이 이용한 1회 통행(trip) 자료를 추적 하여 최종적으로 5회 통행(trips)까지 포함하는 도로 와 철도가 통합된 기종점 여행통행(Travel, Trip Chain) 자료를 생성하고 있다. <Fig. 1>

    수도권 대중교통카드자료를 기반으로 역과 정류 장의 좌표 및 노선링크를 구축하고 교통수단, 교통 카드이용자, 정류장을 코드화하며 개별여행통행 (Travel, Trip Chain)에 대한 세부정보를 데이터로 구 축한다. 이를 통해 수도권 도시철도역과 버스정류 장 기종점 통행량과 환승통행량을 분석한다. <Fig. 2>

    수도권 대중교통카드자료 기반 통합대중교통체 계의 분석배경은 다음과 같다. 2014년 기준 지하철 역은 513개로 환승역 82개, 노선 30개, 완행노선 21 개, 급행노선 9개이며, 버스정류장은 64,519개이며 버스노선 600개, 시내버스 노선 386개, 마을버스 노 선은 214개로 총 링크 421,089개가 생성되었다. <Fig. 3>

    개별 버스정류장의 승하차인원, 행정동에 포함되 는 정류장의 승하차인원, 행정구에 포함되는 정류 장의 승하차 인원을 계산하였으며, 정류장 간, 행정 구 간, 행정동 간에 발생하는 환승에 대한 기종점 통행량을 산정하였다.

    도시철도는 링크 및 환승통행량을 산정하기 위 해 도시철도 경로선택 현황을 분석하였다. 도시철 도통행은 버스통행과는 달리 최초 출발역과 도착역 에 대한 태그인(tag-in), 태그아웃(tag-out) 정보만 발 생하므로 승객의 최소비용을 기반으로 구축된 경로 선택모형을 활용하여 이용경로를 추정하였다.

    III.수도권 대중교통카드자료기반 버스+철도 통합대중교통 이용분석

    1.수도권 대중교통카드기반 기존연구

    교통카드는 2004년 서울을 중심으로 대중교통체 계개편을 지원하기 위한 요금제도 정착을 위해 시 행되었다. 2007년에는 서울-경기도, 2009년에는 서 울-경기-인천의 수도권 통합요금체계가 합의되었다. 카드시스템은 교통카드를 이용하는 승객의 요금부 과 및 운송에 참여하고 있는 운영기관의 수입금 배 분을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교통카드는 매일 약 2천만 건의 1회 통행수단이 용에 대한 통행자료를 생성하고 있다. 현재 요금체 계는 승객에게 5회의 수단이용에 대하여 환승요금 을 면제해주는 체계이므로 이는 약 1천5백만건의 연계통행 또는 여행(Trip Chain, Travel)자료로서 생 성된다. 이들 통행자료와 여행자료는 승객의 수도 권 대중교통이용에 대한 모집단적인 자료이면서 세 계적으로 유래가 없을 정도로 방대한 인구이동 및 수단이용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교통카드자료를 이 용한 연구는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Kim(2007)은 자료의 결측 및 오류를 발견하고 보정 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서울시 자료를 통하여 기종점 (OD)통행을 구축하고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3]. Shin(2011a)은 버스 및 철도로 구성된 통합대중교통망 을 자동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였다. 여 기서는 교통카드 시스템을 운영 및 관리하기 위해서 생성되는 버스 정류장 및 철도역사의 위치좌표를 이용 하여 통합대중교통 네트워크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4]. Shin(2011b)은 수도권 도시철도가 환승 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점을 인식하고 도시철 도의 차량혼잡도를 계산하는 방안으로서 스케줄로 관 리되는 열차에 승객을 탑승시키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5]. Choi et al.(2011)은 교통카드자료를 이용하여 정류 장의 재차인원, 승객 승하차 인원에 따른 정차시간, 통행시간과 거리 산출에 의한 속도 등의 정량적인 항 목으로 대중교통서비스를 추정하였다[6]. Bin et al.(2012)은 대중교통 이용과 연관된 통행패턴을 분석 하였으며 이를 교통정책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 시하였다[7]. Kim(2012)은 카드자료와 연관된 사회경 제 및 교통서비스를 분석하고 교통카드자료의 활용성 을 제고하였다[8]. Kim and Shon(2014)은 인천시의 교 통복지를 개선하기 위한 철도혼잡도를 완화하는 방법 을 강구하였다[9]. Jeon et al.(2014)은 버스카드자료의 탑승정보를 이용하여 대기하는 시간을 줄이도록 최적 배차간격을 구축하는 수학적 모형을 제시하였다[10]. Kim and Lee(2015)는 인천시의 첨두시간에 도시철도 가 지체되는 현상을 파악하여 승객의 지체현상에 대한 관심을 유발시켰다[11]. Han et al.(2015)는 카드자료를 출퇴근 첨두시 서울시의 주요 역세권 영향권에 대해 수도권을 대상으로 분석하는데 적용하였다[12]. Shon(2015)은 도시철도의 역사 승하차 태그시간을 토 대로 동적으로 이동하는 승객을 개별노선에 배정하는 모형을 제시하였다[13].

    본 연구는 교통카드자료를 이용하여 수도권의 인구이동에 대한 파악을 진행하고 시사점을 도출하 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정류장의 위치좌표를 이용하여 개별승객의 동단위, 시군구 단위, 서울-경 기-인천 단위의 이동분석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기존 연구들이 버스 및 도시철도수단으로 한정되었 거나, 개별시의 통행에 대한 분석을 전제로 했다는 측면에서 벗어나서 수도권 전체의 버스-철도 통합 대중교통체계에서 개별 정류장 위치좌표를 이용하 여 수도권 차원의 인구이동에 대한 분석을 실시했 다는 측면에서 최초의 시도라고 볼 수 있다.

    2)자료구축 및 분석

    수도권 버스+철도 통합대중교통 이용현황을 파 악하기 위해 2014년 10월 13일(월)의 1일 자료를 분 석하였다. 수도권의 버스정류장은 총 64,519개, 도 시철도역은 총 513개로 구성되며, 경기도 세부 행 정시군과 서울, 인천지역 간의 환승을 포함한 기종 점 통행자료를 분석하였다.

    수도권 대중교통을 이용한 총통행수는 약 2,111 만 건(A)이고, 이중 97.3%에 해당하는 약 2,055만 건(B)이 분석에 활용이 가능한 데이터로 나타났다. 이를 Trip Chain의 여행자료로 구성하면 총 여행수 1,532만건(C)과 96.3%인 1,474만건(D)의 분석에 활 용가능한 자료로 나타났다.

    통행자료(B)는 승객의 한 번의 수단통행이용을 나타내는 자료이다. 이 자료는 이용수단, 승하차역 및 시간을 포함하고 있어 대중교통수단의 혼잡률, 정류장 이용현황 등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 된다. 서울시는 버스수단의 통행자료(B)를 이용하 여 버스관리체계(Bus Management System; BMS) 및 버스정보체계(Bus Information System; BIS)를 운영 하는데 이용하고 있다.

    여행자료(D)는 개별승객이 최초 승차역에서 최종 하차역까지 이용한 5개까지의 통행자료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수단간의 환승은 4번까지 나타나며 개별승객이 이용한 수단통행(B)이 순차적으로 나타 난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승객이 출발지(최초 승차 역)에서 도착지(최종 하차역)까지 연결된 통행(Trip Chain)과 통행자료(B)에서 가능한 분석이 함께 구성 된다는 장점을 포함하여 대중교통 이용자 전체의 공간적 및 시간적인 이동상황을 분석하는 목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Table 1>.

    2014년 10월 13일(월)의 수도권 총여행통행은 약 1,475만 통행이며, 서울-경기-인천 지역내부통행 은 약 1,056만 통행인 71.6%를 차지했으며, 지역 간 통행은 21%(약 309만 통행), 기타지역으로의 통행 은 약 7.4%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서울-경기-인천 지역 간 통행현황을 살펴 보면 서울 → 인천 · 경기로 141만 통행 (45.65%), 인 천 · 경기 → 서울로 144만 통행(46,7%), 인천 · 경기 간에는 24만 통행(7.7%)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역 간 첨두시 통행은 약 73만 통행으로 지역 간 총통 행의 약 23.6%를 차지하고 있다. 수도권 지역 간 첨 두시 통행의 세부현황을 살펴보면 서울 → 인천 · 경 기로 약 29만 통행 (40.0%), 인천 · 경기 → 서울로 약 38만 통행(52.0%), 인천 · 경기 간에는 약 6만 통 행(8.0%)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도권 지역 간 통행패턴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 해 2005년 지역 간 통근기종점 통행자료와 비교검 토 하였다. 2005년 현재 수도권 지역 간 총통행은 약 245만 통행이며, 서울 → 인천 · 경기로 약 44만 통행(18,0%), 인천 · 경기 → 서울로 약 100만 통행 (40.8%), 인천 · 경기 간에는 약 101만 통행(41.1%)인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2>.

    수도권 지역 간 통행현황을 비교분석한 결과, 2014년 대중교통 통행(약 309만 통행)은 이미 2005 년 승용차가 포함된 통근통행(245만 통행)을 상회 하고 있다. 특히 서울에서 인천 · 경기로의 유출통 행은 2005년 통근통행(44만 통행)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한 141만 통행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경향 이 두드러지게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2014 년 첨두시의 서울에서 인천 · 경기로의 유출통행은 2005년과 비교했을 때 <Fig. 4>와 같이 주로 대중 교통을 이용하여 통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서울은 강남구, 인천은 시범생활권(인천-부천), 경기도는 도농연계생활권(광주-이천-여주) 지역을 선정하여 수도권 3개 지역별 내부통행현황을 살펴 보았다. <Fig. 5>.

    서울의 경우 수도권의 중심지역인 강남구를 중 심으로 주변지역과의 연계성을 진단하는 차원에서 유출통행을 살펴보았다. 가장 많은 통행이 발생한 지역은 성남시(4만 통행이상)이고 그 외 경기도로 는 안양시, 부천시, 고양시, 용인시가 1만 이상의 통 행이 나타났다. 인천시로는 부평구가 약 5천 통행 으로 가장 높았다. 서울시내로는 서초구, 송파구 순 으로 이동이 많았다. 특히 강남구를 중심으로 반경 10km내에 약 55만 통행이 발생하여 이동밀도가 일 일km당 약 5만명으로 나타났으며 환승통행까지 감 안하면 이동밀도는 훨씬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Fig. 6>.

    인천의 경우, 행정구역을 넘어 시범생활권으로 지정된 인천시와 부천지역 간의 통행현황을 살펴보 았다. 인천시 부평구, 남동구, 남구 계양구에서 주 로 경기도 부천시로의 통행이 많았다. 특히 부평구 와 부천시 간에는 5만3천의 가장 높은 유출입 통행 이 발생했으며 2005년에 비해 약 2%정도 통행량이 증가하였다. 인천시 부평구는 경기도 부천시의 상 권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지역이기도 하다. 특히 지 하철 7호선 개통이 통행량 증가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Fig. 7>.

    그 외 서울로의 통행도 2005년 19%에서 31%까 지 증가했으며 격자형 도로망과 광역대중교통인프 라 확충의 영향이 높았을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의 경우, 낙후지역 활성화를 위해 도농연 계생활권을 지정하고 있으며 광주-이천-여주지역은 이에 해당한다. 광주에서는 동일생활권보다는 서울 과 성남으로의 통행량(1만 통행정도)이 가장 많았 다. 이천, 여주로는 약 5백 내외의 통행이 발생하였 으며 용인, 수원, 하남으로의 통행도 나타났다. 이 천과 여주는 상호간 통행량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 으로 광주로의 통행이 나타났다. 2016년 개통예정 인 성남-여주 복선전철의 영향으로 향후 해당지역 의 통행량이 변화할 것으로 판단된다. <Fig. 8>.

    IV.결론 및 정책제언

    수도권 대중교통카드자료의 모집단적인 확보는 교통카드를 이용한 분석효용을 극대화하고 있다. 기존에는 정기적인 설문 및 실측조사에 의존하여 대중교통이용정보를 도출하였으나, 2009년부터 완 성된 수도권 대중교통카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매일 동적으로 승객들이 이용한 카드자료를 활용하는 방 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수도권 지역의 교통카드 를 이용한 연구가 버스수단 또는 도시철도수단에 한정되었거나,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한정된 측면 에서 벗어나 수도권 전체의 분석체계로 활용되는 가능성을 진단하는 첫 번째 시도이다. 특히 버스 정 류장 및 도시철도 역사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수 도권 인구의 공간적인 이동측면에서 시사점을 도출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효과적인 분석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 개별승객의 통행단위 를 연결하는 연계통행 또는 여행개념을 포괄적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결과는 실험적이기는 하나 많은 통찰을 안겨주고 있다. 우선 수도권의 개별승객이 동, 시군구, 서울-경기-인천의 지역이동 에 대한 세밀한 분석이 컴퓨팅적인 시각으로 충분 하게 가능함을 제시하였으며 분석사례로서 도출되 었다. 이러한 자료는 시간적인 분석체계로 한 단계 갱신되면 교통뿐만 아니라 수도권 차원의 다양한 정책적인 분석방안으로서 활용이 가능함을 잠재하 고 있다.

    우선 활용성이 높은 분야로서 다음의 정책 활용 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우선, 수도권 대중교통 카드자료를 기반으로 대중교통 개별이용인구 통행 행태를 분석하여 수도권 지역정책에 활용이 가능 하다. 또한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수도권에 대 한 시민체감형 및 지역밀착형 지역계획 수립의 실 현 및 지역연계정책 실효성 제고에도 활용이 가능 하다.

    향후 연구로서 우선, 수도권 교통카드자료는 도 시철도의 이동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제공하지 못 하는 방안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 도시철도역사 에서 환승역의 태그자료가 없는 관계로 도시철도내 의 이동에서 파악되는 부분의 보완이 요구된다. 이 를 위해서는 도시철도의 환승비용을 반영한 개별승 객 경로선택모형의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인구이 동은 수도권 지역의 산업 및 경제의 특성에 맞물려 심도있는 설명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는 방안에 대 한 강구가 요구된다.

    Figure

    KITS-15-5-12_F1.gif

    Concept of Origin-Destination Travel based on Public Transport Card Data

    KITS-15-5-12_F2.gif

    Detail Informations of Individual Transport Card Data

    KITS-15-5-12_F3.gif

    Locations of Bus & Railway Station in Seoul-Gyeonggi-Incheon

    KITS-15-5-12_F4.gif

    Comparison of 2005 Commuting trips with 2014 Travels (Gyeonggi County, Incheon ↔ Seoul)

    KITS-15-5-12_F5.gif

    Comparison of 2005 Commuting trips with 2014 Morning Peak Travels (Gyeonggi County, Incheon ↔ Seoul)

    KITS-15-5-12_F6.gif

    Outflow Travel from Gangnamgu(Oct.13. 2014)

    KITS-15-5-12_F7.gif

    Comparison of 2005 Commuting trips with 2014 Travels (Gyeonggi County, Incheon ↔ Seoul)

    KITS-15-5-12_F8.gif

    Travels in Gyeonggi’s Urban-Rural Community(Gwangju-Icheon-Yeoju)

    Table

    Total Travels and Trips of Public Transportation within Seoul-Gyeonggi-Incheon (Oct. 13. 2014)

    *Travels can be regarded as trip type.

    Total Travels and Trips of Public Transportation within Seoul-Gyeonggi-Incheon (Oct. 13. 2014 & 2005)

    *source:krihs(2009)

    Reference

    1. Lee M Y (2015) “Analysis of Transit Passenger Movement within Seoul-Gyeonggi-Incheon Area using Transportation Card Data” , Korea Research institute of human settlements,
    2. (2015) Korea Morning Post:“Human Live, 2015 Year Transportation Card Data Analysis , Announce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Card Use State in Seoul, April 29. 2007. http://www.kmp-news.co.kr/news,
    3. Kim J H (2012) “The Analysis of Transit Transfer in Incheon by Card Data” , Incheon Development Institute,
    4. Shin S (2011a) “Constructing an Optimal Integrated Public Transit Network” , Seoul Development Institute, 2011-PR-59
    5. Shin S (2011b) “Congestion Index of Urban Rail Transit Using Public Transportation Card Data” , Seoul Development Institute, Working Paper, 2011-BR-04
    6. Choi M , Eom J , Lee J , Park J (2011) “Evaluation of Transit Services based on Transit Smart Card Data”, ; pp.1811-1825
    7. Bin M , Moon J , Cho C (2012) “A Study on Travel Pattern Analysis and Political Application using Transportation Card Data: In Gyeonggi-D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ol.15 (4) ; pp.615-627
    8. Kim S (2012) “Travel characteristics and ehavior of transit card users” , The Seoul Institute, 2012-BR-07
    9. Kim J , Shon J (2014) “The Congestion Index of Urban Rail for the Transportation Welfare in Incheon” , Incheon Development Institute, 2014-20
    10. Jeon S , Lee J , Jun C (2014) “Development of an Algorithm for inimization of Passengers’ Waiting Time 2014Using Smart Card Data”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ol.22 (5) ; pp.65-75
    11. Kim J , Lee M (2015) “Analysis of the Peak Hour Delay of Urban Rail in Incheon”, Vol.2015 ; pp.310-314
    12. Han S , Kang H , Lee M (2015) “Residential Distribution of Public Transport Commuter by Smart Card through the Use of the Major Subway Influence Area-Focus on Metropolitan” ,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50 (4) ; pp.103-117
    13. Sohn J (2015) “Dynamic Passenger-Trip Assignment Model of Urban Railway Using Seoul-Incheon-Gyeonggi’s Transportation Card”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36 (1) ; pp.105-114

    저자소개

    • 이 미 영 (Mee Young Lee)
    • 2004년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토목환경공학과 교통공학박사
    • 2006년 8월~현재:국토연구원 국토계획·지역연구본부 책임연구원
    • mylee@krihs.re.kr

    • 김 종 형 (Jong Hyung Kim)
    • 2000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교통공학박사
    • 2003년 4월~현재:인천발전연구원 교통물류실 연구위원
    • 2000년 9월~2003년 4월:한국교통연구원 책임연구원
    • knight9@idi.re.kr

    Footno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