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23 No.5 pp.100-116
DOI : https://doi.org/10.12815/kits.2024.23.5.100
DOI : https://doi.org/10.12815/kits.2024.23.5.100
A Study on Policy Directions for Smart Mobility Service in the Post-COVID-19 Era Using the AHP Technique
│
│
Abstract
This study assessed the importance and feasibility of smart mobility services in the post- COVID-19 era. Emerging smart mobility services are gaining attention because they are expected to bring innovative changes to the future of transportation. To achieve this, mobility servic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levels: individual personal sharing services,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for support systems in underserved areas, and integrating services for expansion. Detailed indicators were established for each category, and an expert survey was conducted to appl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e analysis results highlight how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are rated highly in terms of importance and feasibility. Additionally, technology-centric services such as autonomous shuttles and smart parking are found to be both important and feasible. Conversely, certain aspects of individual sharing services are considered important but less feasible, while integrated services are seen as less important but more feasible. Based on these findings, both strategies and policy directions are proposed for the advancement of mobility services in the post-COVID-19 era.
AHP 기법을 활용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정책 방향 연구
초록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한 중요도와 실현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새롭게 성장하고 있는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는 미래 교통의 혁신적인 변화를 불러올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를 개인 이용에 초점을 맞춘 개인 공유형 서비스, 취약지역의 보조 역할로의 대중교통형 서비스, 서비스 확장을 위한 연계형 서 비스 등 대분류를 3단계로 분류하고 각각의 중분류, 소분류로 세부 지표를 구성하여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AHP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중교통 서비스가 중요도 와 실현 가능성 측면에서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자율주행셔틀과 스마트 주차와 같은 기술 중 심의 서비스들이 중요도와 실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개인 공유형 서비스 와 관련된 일부 항목은 중요도는 높지만, 실현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고, 연계형 서비 스의 경우 중요도는 낮지만, 실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포 스트 코로나 시대의 모빌리티 서비스 발전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