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24 No.2 pp.20-36
DOI : https://doi.org/10.12815/kits.2025.24.2.20
DOI : https://doi.org/10.12815/kits.2025.24.2.20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edestrian Level of Service Criteria for Stairways
│
│
Abstract
People utilize various pedestrian facilities, including sidewalks and stairways, and the level of service (LOS) of these facilities serves as a key indicator for assessing pedestrian safety, comfort, satisfaction, and the appropriate facility capacity. To this end, the Highway Capacity Manual provides guidelines for estimating pedestrian facility capacity and evaluating LOS. However, inaccurate LOS assessments of stairways may lead to insufficient stair widths, negatively impacting pedestrian safety and walking conditions. This study conducts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flow characteristics, including pedestrian volumes, walking speeds, densities, and flow rates on stairways in subway stations. Based on this analysi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LOS criteria are identified, and more realistic stairway capacity and LOS thresholds that reflect contemporary pedestrian behavior are proposed.
보행자시설 중 계단의 서비스수준 평가 기준 개선 연구
초록
보행자는 보도, 계단 등 다양한 보행자시설을 이용하며, 이러한 시설의 서비스수준은 보행 자의 안전성, 편안함, 만족도뿐만 아니라 시설의 적정 규모를 평가하는 핵심 지표로 활용된다. 이를 위해 도로용량편람에서는 보행자시설의 용량 산정 및 서비스수준 평가를 위한 기준을 제 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도로용량편람의 계단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서비스수준을 산정할 경 우, 보행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A 수준으로 평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실제 보행 환경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는다. 특히 부정확한 서비스수준 평가로 인해 계단의 적절한 폭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보행자의 안전과 보행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 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역사 승강장 내 계단을 대상으로 보행교통류율, 보행밀도, 보행속도 등을 실측하여 기존 서비스수준 기준의 한계를 분석하고, 보다 현실적인 계단 서비 스수준 기준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새로운 기준이 실제 보행 환경을 보다 현실적으로 반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보다 합리적인 계단 설계 및 운영 기준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