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24 No.2 pp.112-122
DOI : https://doi.org/10.12815/kits.2025.24.2.112
DOI : https://doi.org/10.12815/kits.2025.24.2.112
Priority Analysis of Road Environment Improvement Factors for Safe Use of Personal Mobility
│
│
Abstract
As the use of personal mobility devices increases, various traffic problems, such as accidents, are increasing. Accordingly, by using AHP this study derives 13 road environment improvement factors for the safe use of personal mobility devices their priorities. Analysis shows that the highest priority in terms of road facilities is the installation of bicycle lanes; in terms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it is installation of road markings and safety signs; in terms of traffic safety systems, it is a crackdown on sidewalk traffic prohibition. This means improving the current road environment should be a priority,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set appropriate directions when establishing plans and policies to enhance safety.
안전한 개인형 이동장치 이용을 위한 도로환경 개선요인 우선순위 분석
초록
개인형 이동장치 이용의 증가로 교통사고, 불법주차 등 다양한 교통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개인형 이동장치 안전과 관련된 연구는 대부분 개인형 이동장치 이용특성과 관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한 개인형 이동장치 이용을 위한 도로환경 분야의 개선항목에 대해 살펴보고 항목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선행연구 텍스트마이닝, FGI를 통해 도로환경 개선 요인 13가지를 도출하였고, AHP를 통해 개선항목의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도로시 설 측면에서는 자전거도로 설치, 교통안전시설 측면에서는 노면표시와 안전표시판 설치, 교통 안전제도 측면에서는 보도통행 금지단속이 가장 우선순위가 높았다. 이는 개인형 이동장치 안 전을 위해서는 PM과 보행자, 자동차를 분리가 가장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 구 결과는 개인형 이동장치를 비롯한 자전거도로 설치 등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계획과 정책 마련 시에 방향성과 우선순위를 설정하는데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