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View PDF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24 No.3 pp.159-173
DOI : https://doi.org/10.12815/kits.2025.24.3.159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Autonomous Driving Living Labs and Urban Traffic Problem Solving

Ingon Ryu,Jeong Ah Jang,Hyunmi Lee,Tae Wan Kim

Abstract

In various countries, autonomous driving living labs are being established and operated as part of demonstration projects to solve urban traffic issues. These initiatives simultaneously explore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social acceptance. This study evalu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autonomous driving living labs in addressing urban traffic challenges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model incorporated the latent variables related to the living lab environment setup and operation, as well as the operational objectives and outcomes. The physical environment significantly impacts user and developer-related living lab operations, while user-oriented factors contribute to communication and performance activation. Furthermore, promoting public communication facilitates performance activation, ultimately fostering technology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In particular, ecosystem formation is a critical factor directly influencing urban traffic problem resolution. This study provides effective operational strategies for autonomous driving living labs, contributing to practical urban traffic solutions.

자율주행 리빙랩과 도시교통 문제 개선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류인곤,장정아,이현미,김태완

초록

다양한 국가에서는 자율주행 리빙랩을 구축 및 운영함으로써 도시교통 문제를 해결하고자 실증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기술 개발과 사회적 수용성을 동시에 모색하 고 있다. 본 연구는 자율주행 리빙랩이 도시교통 문제 개선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하여 그 관계를 분석하였다. 리빙랩 환경 조성 및 운영과 관련된 잠재변수와 운영 목적 및 성과와 관련된 잠재변수를 활용하여 구조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물리적 환경은 사용자 및 개발자 관련 리빙랩 운영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용자 관련 운영 요인은 대국민 커뮤니케이션과 성과 활성화에 유의미한 기여를 하였다. 환경 조성 및 운영 요인 중에서는 홍보 및 대국민 소통 요인이 성과 활성화 요인을 촉진하고, 이는 운영 목적과 성과와 관련된 잠재변수 중 기술개발 및 상용화 촉진에 긍정적 역할을 수행함을 확인 하였다. 특히, 생태계 조성은 도시교통 문제 개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 다. 본 연구는 자율주행 리빙랩의 효과적 운영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실질적 도시교통 문제 개 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Table

    Reference

    저자소개

    Footnote